광섬유를 이용한 LED 형광체 분말의 온도 소광 측정
 
 

온도에 따른 형광 세기 측정에 앞서 Heating Block과 Precision Cell의 열전도 과정에서의 온도 차이가 예상되어, 시료가 포함된 Precision Cell은 적외선 온도계로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둘 간의 온도 선형선을 확인하였다.


그림 4. Heating Block의 세팅 온도(가로)와 Precision Cell의
측정 온도(세로) 간의 상관 관계

그림 4와 같이 Heating Block과 Precision Cell은 열손실에 의한 온도차이가 다소 존재하지만, 그 차이 정도가 선형적이기 때문에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실험에서 시료의 온도는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다음으로 온도에 따른 형광 세기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그림 5 (a)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며 형광 방출 (Emission) 세기가 감소하는 온도 소광 현상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그림 5 (b)와 같이 형광 들뜸 (Excitation) 스펙트럼에서도 온도 상승에 따라 형광 세기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그림 5. 온도에 따른 형광 방출 및 들뜸 스펙트럼의 변화
( (a) Emission Spectra, (b) Excitation Spectra)

측정된 데이터의 봉우리 파장에서 형광 세기 값을 온도에 따라 정리하고, 20℃를 기준으로 각 온도의 상대 형광 세기 비율을 계산하여 그림 6으로 나타내었다. 온도 소광 현상도 측정 온도 범위 안에서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형광 세기가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형광 세기의 변화율은 형광 방출의 경우 - 0.166 %/℃, 형광 들뜸의 경우 - 0.137 %/℃ 였다.



그림 6. 온도에 따른 상대 형광 세기 변화
((a) Emission Spectrum, (b) Excitation Spectrum)

본 실험에서는 ㈜신코의 광섬유 액세서리를 연결한 형광 분광광도계 FS-2와 Heating Block을 이용하여 LED 형광체 분말의 온도에 따른 소광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광섬유를 사용한 측정법 검증과 더불어 온도 소광의 선형성을 직접 확인 할 수 있었다.

1. E.f. Schubert, Light-emitting diodes, pp 63,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